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강직성 척추염을 말 그대로 옮기면
<척추에 염증이 생기고 움직임이 둔해지는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류마티스 인자(rheumatoid factor)가 음성인 ‘혈청음성 척추관절병증’이라는 질환군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엉덩이의 천장관절과 척추관절을 특징적으로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허리통증, 엉덩이 통증이 대표적인데, 이는 발뒤꿈치, 앞가슴 뼈와 같이 인대나 힘줄이 뼈에 붙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골부착부염이며,
드물지만 관절 외에도 눈, 위장관계, 폐, 심장, 신장, 전립선 등 다른 장기도 침범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이 질환은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여성 환자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으며 연령과 상관없이 발병합니다.
임상적으로 청소년기의 연령대에서는 증상의 악화 속도가 빠르며 2차적인 장애가 유발되기도 하지만 중장년층의 연령대에서 발병하면 증상의 악화 속도는 느려지며 2차적인 장애의 발생빈도는 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본원의 치료효과의 경우는 청소년기에 훨씬 더 빠른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더딘 효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HLA-B27이라는 유전자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들의 90% 이상에서 HLA-B27이 양성으로 나타나며, 가족 중 강직성 척추염 환자가 있으면서 HLA-B27이 양성인 경우에는 발병 빈도가 10~30%로 높은 편입니다.
그러므로 X-선과 생화학적 검사로 대개 확진이 가능하지만 초기에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척추가 대나무처럼 연결되는 강직(Bamboo spine)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모든 방향의 척추 운동이 어려워지고 등이 앞으로 굽으며 목도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 가슴뼈의 강직이 올 경우 가슴이 확장되지 않아 가벼운 운동에도 숨이 차게 됩니다. 드물지만 척추와 팔다리 관절 외에도 전신에서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눈의 포도막(uvea)에 염증이 생겨 눈이 아프고 시야 장애가 나타나는 포도막염(uveitis)이 있는데 이는 재발이 잘 되며 반복될 경우 녹내장이나 시력 상실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가벼운 운동장애만 느낄 수 있는 초기에 본원의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히 관리가 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대부분이 이러한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시기를 놓쳐서 결국 만성적으로 진행된 상태까지 방치된 경우를 많이 접하는 것입니다.